2024.12.26 (목)

  • 맑음동두천 -6.0℃
  • 맑음강릉 0.4℃
  • 맑음서울 -4.0℃
  • 맑음대전 -1.3℃
  • 맑음대구 1.3℃
  • 맑음울산 1.8℃
  • 흐림광주 2.2℃
  • 맑음부산 3.7℃
  • 흐림고창 1.8℃
  • 흐림제주 6.3℃
  • 맑음강화 -4.3℃
  • 맑음보은 -1.8℃
  • 맑음금산 -1.6℃
  • 흐림강진군 3.1℃
  • 맑음경주시 1.6℃
  • 맑음거제 3.3℃
기상청 제공

Research & Review

포스코 상반기 실적반등, 권오준 체제 유지될까?

정권교체 때마다 덩달아 회장교체 "정치 아닌 업적과 능력 평가돼야..."


포스코 회장직은 공직이 아닌데도 항상 정권과 운명을 같이했다. 초대 박태준 회장을 거쳐 2000년 완전 민영화 이후 지금까지 25년 동안, 대통령이 바뀔 때부터 마다 포스코 회장 자리는 한번의 예외도 없이 주인이 바뀌었다.


최근 KBS, MBC, SBS 등 공영방송 경영진의 교체가 이슈로 대두되자 재계 일각에서는 또 다시 포스코 회장 교체설이 고개를 들고 있다. 


2014년 취임한 포스코 권오준 회장은 올해 3월 주주총회에서 재선임됐지만 5월 새정부가 들어서면서 권오준 회장의 3년 임기 완주 여부가 도마에 오르고 있다.


하지만 철강업계와 재계에서는 잦은 회장교체로 인한 포스코의 혼란과 부진을 지적하며 더 이상 정치적 목적으로 수장이 교체돼서는 안되며 업적과 능력을 기준으로 평가되고 선임되는 구조가 정착돼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 권 회장 취임후 경영실적 악화, 최순실 게이트 연루 “완주 어려울 듯…”


포스코, 현대제철, 동국제강 등 국내 철강업계는 중국 업체들의 저가 공세로 오랫동안 어려움을 겪고 있다. 포스코도 2010년 이후 7년 동안 매출도 이익도 계속 하락하고 있다.


권 회장이 취임한 이후에도 매출 하락폭이 커지고 이익도 급감해 2015년에는 창립 후 처음으로 962억원 손실이 나 적자회사가 되기도 했다.

 

업계 일각에서는 정치적인 이유가 아니더라도 경영실적 부진 때문에 권 회장의 임기 유지가 어렵지 않겠냐는 관측도 제기된다. 


더욱이 최순실 게이트에 포스코가 연루돼 미르재단, 포레카, 엔투비, 당밀수입 등 의혹을 받고 일부 혐의에 대해서는 수사도 진행됐다. 권 회장 자신도 선임과정에서 김기춘 전 비서실장의 지시가 있었다는 조원동 전 청와대 경제수석의 증언이 나와 권 회장의 완주 가능성에 대해 회의적인 목소리가 커졌다. 


■ 상반기 매출 30조원, 순이익 1조5069억원 “권 회장 완주 발판 마련?”


권 회장의 임기에 대해 각종 예측이 무성한 가운데 포스코는 올 상반기 그동안의 부진에서 벗어나며 오랜만에 실적반등을 이뤄냈다.


매출은 30조216억원으로 지난해 상반기 25조3186억원보다 18.6% 늘어나 연간 60조원을 바라볼 수 있게 됐다. 무엇보다 순이익이 1조5069억원으로 지난해 상반기 5589억원의 3배 가까이 증가하는 성과를 거뒀다.


증권가에서는 포스코의 3분기 영업실적도 호조세를 지속할 것이라는 의견이 나오고 있고 주가도 최근 3년래 최고 수준까지 상승했다.


그동안 업계일각에서는 권 회장의 경영방향에 대한 비판도 만만치 않았지만 권 회장은 저조한 실적 때문에 이렇다 할 해명조차 못하고 있었다. 하지만 이번 실적반등으로 자신감을 얻었고 남은 임기를 채울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는 업계의 분석이 나오고 있다.




권 회장은 취임 후 전임 정준양 회장의 확대경영이 회사를 부실화 시켰다는 판단아래 경영방향을 완전히 바꿔 철강사업으로의 집중 등 축소경영을 추진해 왔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이번 실적호조가 권 회장 경영정책으로 인한 포스코의 체질 강화 때문이 아니라 중국 철강업체의 생산조절로 국제 철강가격이 올랐기 때문이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부진에서 벗어나려면 아직도 갈 길이 멀고 권 회장의 경영정책도 뚜렷한 성과가 보이지 않는다는 주장이다. 


■ “정권따라 수장 바뀌는 악습 사라져야 경영안정 가능” 


권 회장의 경영정책과 성과에 대한 논란과 별개로 업계에서는 정권에 따라 수장이 바뀌면서 회사의 경영정책이 오락가락하는 것도 포스코 부진의 중요 이유라고 입을 모은다.


정치적 배경을 업고 취임한 회장들 대부분이 전임자와 상반된 경영방향을 내놨는데 새로운 경영정책이 자리를 잡을 만하면 또 회장과 경영방향이 바뀌어 회사가 혼란을 겪는 악순환을 반복해 왔다는 설명이다.


포스코는 국내 철강산업의 70%를 차지하고 있다. 철강산업은 기간산업으로 포스코가 흔들리면 우리 경제 전체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포스코가 정치에 휘말리는 행태에 대해 재계에서는 우려와 경계의 목소리가 크다. 


회사의 수장과 경영정책의 교체는 정치적 목적이 아니라 수장의 능력과 정책의 효율성으로 결정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재계 관계자는 “포스코가 재계 6위의 큰 덩치를 갖고 있고 뚜렷한 주인이 없다보니 정치권에 이용당하는 악습이 계속되고 있었다”며 “철강은 기간산업으로 자동차, 조선, 건설 등 국가경제에 파급효과가 커 이제는 더 이상 정치논리가 아닌 경제적 기준에 의해 포스코의 수장이 결정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Research & Review

더보기


ESG 기업 공헌활동

더보기


PeopleㆍCompany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