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2.16 (월)

  • 맑음동두천 -5.6℃
  • 맑음강릉 -0.1℃
  • 맑음서울 -2.5℃
  • 구름조금대전 -1.2℃
  • 맑음대구 1.5℃
  • 맑음울산 2.1℃
  • 맑음광주 3.7℃
  • 맑음부산 3.4℃
  • 흐림고창 2.0℃
  • 제주 8.1℃
  • 구름조금강화 -4.4℃
  • 맑음보은 -3.6℃
  • 맑음금산 0.1℃
  • 구름많음강진군 5.2℃
  • 맑음경주시 1.5℃
  • 구름많음거제 5.1℃
기상청 제공

기획PLUS

[주택동향] 주택가격 9년만에 하락 "'급급매물'이 하락 주도"

'21년 +18.3% → '22년 -0.14% "너무 급한 변화 문제점 확산"

[산업경제뉴스 문성희 기자]  집값이 걷잡을 수 없이 떨어지면서 9년만에 마이너스 상승률을 기록했다. 시장은 이미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었지만, 정부는 여전히 집값은 더 떨어져야 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어, 시장의 불안은 더욱 커지고 있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가격은 지난 2013년 연간 상승률 -0.29%를 기록한 후 9년만인 올해 9월까지 -0.14%를 기록하며 하락세를 보였다. 


9월 2일을 기준으로 한 조사이기 때문에 사실상 8월까지의 추이를 의미하는데, 9월에는 하락률이 더욱 급해지고 있는 것을 감안하면 연간 하락률은 2013년 수준에 이를 것이라는 분석이다.


2013년에는 주택시장이 너무 침체돼 2014년 정부가 대대적인 주택부양책에 나서는 등, 최악의 주택불황기였다고 업계에서는 설명한다.   




이러한 최근의 주택가격 급락세는 특히 지방도시에서 더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세종시가 2.95%의 하락률을 보이며 전국에서 가장 집값이 많이 떨어졌고, 인천도 -2.46%로 하락폭이 컸다. 결국 정부는 21일 세종시와 인천시를 투기과열지구에서 해제했다. 


세종과 인천 외에도 대전이 -2.14%, 대구가 -1.7%, 경기가 -0.46%의 상승률을 기록하며 가격이 하락한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부동산R114와 달리 한국부동산원이 조사한 전국 아파트가격 상승률은 -0.97%로 부동산R114의 -0.14%보다 7배나 하락폭이 더 컸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1~9월(9월 5일 기준) 서울의 주택가격 상승률은 -1.00%로 부동산R114의 0.48% 상승과는 반대의 결과가 나왔고, 세종은 -6.74%, 대구 -5.03%, 대전 -2.58% 등 다른 곳의 하락률도 부동산R114의 수치보다 2~3배 더 컸다.


이렇게 한국부동산원과 부동산R114의 수치가 방향은 비슷하지만 크기에서 차이가 나는 이유는 조사대상이 다르기 때문이다.


한국부동산원은 실제 거래가 완료돼 신고한 매매가격을 반영하고 있고, 부동산R114는 여러 부동산매매플랫폼에 등록된 매매물건의 가격을 반영하기 때문이다. 즉, 부동산R114의 경우 매도자의 호가가 좀 더 많이 반영됐다는 설명이다.


한국부동산원의 하락폭이 2~3배 더 큰 이유는, 그만큼 최근 시장의 분위기가 매수자 우위의 모습을 보이기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즉, 매도자가 원하는 가격보다 낮은 가격의 물건 위주로 거래가 이뤄지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시장에서는 거래가 실종된 최근에는, '급매물'도 아닌 '급급매물'만 간혹 거래되고 있어 가격하락폭이 더 커지고 있다는 설명이다. 


실제로 서울부동산정보광장이 8월 31일 기준으로 조사한 '서울 아파트 거래량'을 보면, 7월 아파트 거래량(신고일 기준)은 295건으로 지난해 7월 4,061건의 7%에 지나지 않는다. 두 달 전만 해도 지난해 거래량의 27% 수준이었는데, 한 달 전에는 14%로 떨어지더니, 그마저도 반토막이 났다. 시장에서 '거래 실종'이라는 말이 나오는 이유다. 


국토교통부가 조사한 전국 주택매매거래량도 7월 기준 3만 9600건으로 지난해보다 5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월보다도 21%나 감소하면서 최근 감소속도가 더 빨라지고 있다. 거래량이 3만 건대로 떨어진 것은 주택불황기였던 2013년 7월 이후 9년 만이다. 




이렇게 거래가 급감하고 가격이 급락하는 가운데, 시장에서 무엇보다 우려하는 것은 지난해 가격상승률이 18.32%로 역대 최고의 상승률을 보였는데 중간단계도 없이 1년만에 가격이 급락하는 등 변화의 폭이 너무 가파르다는 점이다.


이러한 급격한 변화는 시장 곳곳에서 이미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지난해 급상승기에 집값이 더 오를까봐 무리를 하며 대출을 받아 집을 산 소위 '영끌' 매수자나, 집값이 더 오를 것을 감안해 전세가격을 산정한 세입자들은 이미 시장의 큰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전국 전세율은 평균 80% 수준으로 최근의 가격 급락을 견디지 못해 '깡통전세'가 되고 있기 때문이다.


주택도시보증공사에 따르면 전세보증금사고액이 올해 8월까지만 5,368억원으로 지난해 연간 5,790억원에 육박하고 있는데 문제는 8월에만 1,089억원으로 최근들어 사고금액이 급하게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피해건수도 8월에 511건으로 7월 421건보다 한 달만에 21%가 증가하며 급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렇게 가격 급락으로 인한 문제가 이미 발생하고 있지만, 최근 원희룡 국토부장관과 추경호 기획재정부장관이 부동산가격을 더 하향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히면서 시장의 분위기가 더욱 위축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정부는 21일 부랴부랴 투기과열지구와 조정대상지역을 일부 해제하며 경직된 시장을 풀어보려 하고 있다. 하지만, 부동산 전문가들은 "기준금리가 0.5%에서 1년만에 2.5%로 5배가 인상됐고, 앞으로 3~4%까지 오를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는 상황에서 부분적인 규제완화로는 시장의 침체된 분위기를 바꾸기 어려울 것"이라며 정부의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를 내고있다. 

관련기사

Research & Review

더보기


ESG 기업 공헌활동

더보기


PeopleㆍCompany

더보기